구취/구내염

home 감기/비염 구취/구내염
--

개인정보 취급방침

구취와 구내염은 상초 기체증으로 유발되는 증상! 맑은한약은 기체증 치료에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구취란?

생리적 구취와 병리적 구취가 있는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병리적 구취입니다.
병리적 구취는 입이나 코, 호흡기, 폐, 소화기에 문제가 있거나 전신질환이 있을 때 나타납니다.

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취는 비염이나 축농증으로 코가 고여 있어서 나타나거나
위장에 열이 많아 불쾌한 냄새가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염이나 축농증인 경우에는 상초 코 부위에 몰린 열을 풀어내주는 치료를 해야합니다.
위장에 열이 몰린 경우는 단것을 많이 먹는 아이들에게 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아이들은 대개 위장의 열로 인해서 치아가 약하고 충치가 많은 특징이 있습니다.

구내염

입안이나 입술주위에 생기는 염증으로 상초에 열 순환이 안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1. 01. 아구창

    아구창은 소아에서 자주 보는 구강질환으로 젖먹이 아이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아구창은 점막표면의 감염이며 신생아의 2-5%가 앓는다고 합니다.
    신생아는 Candida albicans의 감염으로 생기는데,
    출생 시 임산부의 질로부터 감염됩니다.

    생후 7-10일부터 나타날 수 있는데, 생후 1년 내에 항생제를 투여 받으면
    반복해서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혀, 구개 및 구강 점막에
    진주 빛깔의 흰 위막으로 나타납니다.

    만성적인 경우는 우유찌꺼기 같은 흰 반점이 볼 점막이나 혀, 구강 인두 점막을
    덮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떼어 내면 특징적인 염증 소견과 출혈을 보이기도 합니다.

  2. 02. 아프타 구내염

    입 안에 심한 통증을 동반한 경계가 명확하고 적색이며 내부는 회백색의 섬유 삼출물로 덮여 있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둥근 궤양입니다.
    원인은 불명이지만 알레르기 또는 면역반응,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요인, 그리고 입안 연부 조직의 상처등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염증성 장질환, 베체트병 등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03. 헤르페스 잇몸 구내염

    5세 미만 소아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구내염입니다. 그러나 연장아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Herpes simplex 바이러스를 처음 접한 소아의 약 1%에서 생기는데
    볼 점막과 전 구개궁, 입술 내측, 혀, 특히 잇몸에 1-3mm의 조그마한 궤양이 다수(10개이상) 생깁니다.
    발열, 동통성의 경부 림프절 비대와 구강전체에 염증을 보이기도 합니다.

    2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나, 구강 동통을 호소하며 음식을 잘 먹지 않고 보채며 탈수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이엔여기에서 보는 병의 원인과 치료

아이엔여기에서는 병의 원인을 노폐물로 보고 있습니다.
노폐물은 열을 많이 생산하는 음식으로부터 주로 생깁니다.
구취와 구내염은 이러한 열이 상초인 입쪽으로 몰리면서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에서 단내가 나는 아이들이나 반복적인 구내염이 있는 아이들은
열을 많이 생성하는 음식(인스턴트 식품, 쥬스류, 닭고기 등)을 우선적으로 끊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이엔여기 지점 안내

아이엔여기 네트워크 안내

아이엔여기 클리닉 안내